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중소도시의 도심활성화 전략으로써 공공공간 마스터플랜 수립방안 연구
차주영 부연구위원 임현성 연구원 이상민 부연구위원
  • AURI-기본-2009-3
  • 2009.12.31
  • 271페이지
  • 조회수 11800
요약 국내 중소도시는 도로, 공원과 녹지, 공개공지, 주차장 등 기반시설로서 공공공간이 부족하고 공공공간 관련 사업이 단편적이고 일회적인 성과로 그치는 경우가 많아 이러한 공공공간의 열악한 물리적 환경이 지역 활성화를 가로막고 도심 쇠퇴를 가속화하는 근본적인 한계라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삶의 질 향상과 지역 커뮤니티의 재생이 점차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고 가운데 낙후된 도심지역의 물리적 환경 개선의 거점으로서 공공공간의 체계적인 관리와 지속적인 개선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요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공공공간의 조성과 이용, 관리 방안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전략 마련과 공간 계획의 부재에 따른 해결책으로써 공공공간 마스터플랜 수립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1) 지방 중소도시 도심지 쇠퇴와 열악한 공공공간
    2) 도심지 활성화 매개로써 공공공간의 중요성 
    3) 공공공간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수단의 필요성과 공공공간 마스터플랜
  2. 연구 목적과 주요 연구내용
    1) 연구의 목적
    2) 주요 연구내용
  3. 연구 범위와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4. 선행연구 현황과 본 연구와의 차별성
    1) 선행연구 현황
    2) 선행연구 종합 및 본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해외의 공공공간 마스터플랜 수립사례와 시사점 
  1. 해외사례 조사개요
    1) 해외사례 조사 대상지 선정 기준 및 조사내용
    2) 사례 도시 개요
  2. 영국 노팅엄시 : 공공공간 거점 프로젝트를 통한 도심재생
    1) 노팅엄시의 일반현황과 특성 
    2) 도심활성화 수단으로서 공공공간 활용을 위한 계획  
    3) 계획의 운영과 관리
  3. 덴마크 코펜하겐시 : 보행자 중심의 공공공간 조성과 지속적인 관리를 통한 도심활성화
    1) 코펜하겐시의 일반현황과 특성
    2) 점진적이고 지속적인 공공공간 계획과 조성 
    3) 계획의 운영과 관리
  4. 독일 에쓰링엔시 : 부문별 공공공간 계획을 통한 도시경관의 통합적 관리
    1) 에쓰링엔시의 일반현황과 특성
    2) 통합관리 수단으로서 경관 형성 요소별 공공공간계획
    3) 계획의 운영과 관리
  5. 일본 나가오카시 : 국가 도심재생정책과 연계된 공공사업 중심의 도심활성화
    1) 나가오카시의 일반현황과 특성
    2) 공공사업 중심의 중심시가지활성화기본계획과 중앙정부의 지원
    3) 계획의 운영과 관리
  6. 사례분석을 통해서 본 시사점
    1) 도시의 경쟁 요소로서 공공공간의 역할의 변화와 중요성 증대
    2) 비전(Vision)을 공유하는 유연성 있는 계획체계 및 계획 간 역할 정립
    3) 기존 도심의 면밀한 현황분석 및 지속적인 리뷰(Review)와 모니터링(Monitoring) 병행
    4) 다양한 주체의 참여 유도
    5) 지자체 담당 조직간 협력적 시스템 구성 및 전문성 확보 

 

 제3장 국내 중소도시 도심지 공공공간 계획 현황 및 심층조사
  1. 국내 중소도시 도심지 공공공간의 특성과 관리체계
    1) 중소도시 공간구조와 도심지의 역할
    2) 중소도시 도심지 공공공간의 유형
    3) 도심지 공공공간 관련 계획 및 관리체계
  2. 국내사례 조사 개요
    1) 국내 현황조사 및 심층조사 대상지 선정
  3. 중소도시 도심지 공공공간 심층조사 
    1) 거창군(5~10만)
    2) 남원시(5~10만)
    3) 제천시(10~20만)
    4) 순천시(20~30만)
    5) 심층조사 결과 종합

 

 제4장 중소도시 도심 활성화를 위한 공공공간 마스터플랜 수립 및 활용방안
  1. 기본전제
  2. 계획의 구성과 활용
    1) 공공공간 마스터플랜 수립방안
    2) 공공공간 마스터플랜 활용방안
  3. 공공공간 마스터플랜 활용을 위한 정책제언

 

 제5장 결론 
  1. 필요성과 기대효과
    1) 국내 중소도시 공공공간 이용 실태와 현황
    2) 도심지 공공공간 관리를 통한 지역활성화와 공공공간 마스터플랜의 필요성
    3) 공공공간 마스터플랜 활용 가능성
    4) 기대효과
  2.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summary
 부록1. 1차 중소도시 선별과정
 부록2. 12개 중소도시 도시기본계획 내용요약
 부록3. 중소도시 공공공간 관련 사업 현황
 부록4. 4개 지자체 공공공간 실태 현황

차주영 부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제공 담당자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포스트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TV 건축공간연구원 유튜브 건축공간연구원 페이스북